시시비비 是非(시비, 옳을시, 그릇비)
비(非)라는 글자에 대해 알아 보자. "비예물동(非禮勿動)"은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 말아라"는 뜻이다. 비(非)는 '어긋나다, 그르다'는 뜻이다. 비(非)는 본래는 '날다'라는 뜻으로 飛(날 비)가 대신 쓰이게 되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위배되다(違·위)는 뜻이며, 飛(날 비)자의 아랫부분 날개를 본떴다'고 했다. 이는 새의 두 날개 형상화 한 것인데, 날개가 서로 어긋나 있는 모습으로 각각 나뉘어 있다. 어느 쪽은 옳고 어느 쪽은 그르다. 그래서 나뉜다. 是非(시비, 옳을시, 그릇비), 이것이 시비이다. 아닐 비 비정상(非正常) , 비리(非理), 시비(是非) 非理(비리, 아닐비, 이치리) 是非(시비,옳을시, 그릇비) 非常(비상, 아닐비, 항상상). 접두어로 비(非)는 어긋난 행동이나 태도 등에 쓰임..
더보기
본말(本末)이 전도(顚倒)되다, 不(아니 불), 本(근본 본), 아닐 미(未), 끝 말(末)은 모두 木(나무 목)에서 나온 글자
아니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말로는 아닐 비(非), 아니 불('不')는 '않다, 아니하다'라는 뜻을 지닌 술어 부정 접두사로 쓰인다. 不자가 붙으면 '무엇이 아니다, 무엇이지 않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不(아니 불), 本(근본 본), 아닐 미(未), 끝 말(末)은 모두 木(나무 목)에서 나온 글자이다. "아니 불(不), 아닐 미(未), 아닐 비(非)"의 쓰임의 차이에 대해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1)'불-'은 ‘아님, 아니함, 어긋남’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쓰이고, 2) '비-'는 ‘아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쓰이며, 3)'미-'는 ‘그것이 아직 아닌’ 또는 ‘그것이 아직 되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쓰인다고 설명한다. 아니 불(不), 아니하다, 아니할 불이다. 불가능 불행 부족 불사신... 아니다..
더보기
알아야 면장을 하지, 한자로 面長과 面墻?
"알아야 면장을 하지." 여러분은 이 무슨 뜻인지 아는가? 국어사전에 면장(面長) 면(面)의 행정을 맡아보는 으뜸 직위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고 나와 있다. 그런데, 알아야 면장을 하지에서 면장은 면사무소 장을 의미하지 않는다. 가끔 예화로 아내가 남편에게 면장(面長 : 얼굴이 크다)님이라고 불러서 면장(面長)을 했다는 우수갯소리를 하지만, 얼토당토 않은 얘기를 한다. 차라리 면장(面長)님이 면장(面墻)도 모르면서 면장(面長)을 하게 됐다. 長은 '긴 장'이라는 한자로, '길다', '우두머리', '자라다', '어른', '최고책임자', '권한자', '장인'을 뜻한다. 면장(面墻)은 한자로 보아야 정확하게 그 뜻을 알 수 있다. 사실 우리 국민 중에 대다수가 모를 것이다. 그냥 대충 문맥을 추리로 알 뿐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