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지혜 썸네일형 리스트형 [채근담(菜根譚)] 133. 사람이 마땅히 해야할 도리 父慈子孝(부자자효)하고 兄友弟恭(형우제공)하여 終做到極處(종주도극처)라도 俱是合當如此(구시합당여차)니 著不得一毫感激的念頭(저부득일호감격적념두)라。 如施者任德(여시자임덕)하고 受者懷恩(수자회은)하면 便是路人(변시로인)이니 便成市道矣(변성시도의)니라。 [해석] 부모는 마땅히 자식을 노하게 하지 말고 자애로움이 있어야 하며, 자식은 마땅히 부모에게 효도하여야 하고, 형은 마땅히 동생에게 우애있게 행하고 동생은 마땅히 형을 공경하며 그로 인해 뛰어난 도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지라도 모두가 마땅히 해야할 도리이다. 그러한 일들로 털끝만큼도 자랑스럽게 여기기 말아야 하는 것이라. 만일 베푸는 자가 그것을 덕을 베푼다고 생각하고 행하고 만일 그것을 받은 사람이 은혜로 여긴다면 이는 길에 오고가는 사람과도 같음이니 이.. 더보기 메모광 김대중 대통령 메모, 습관처럼 하기 세상을 살면서 바쁘고 정신이 없을 때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면 자주 잊이 버리고 까먹습니다. 나이 때문에 건망증도 있고, 어디다 두었는지 모르고 찾을 때도 있습니다. 잊지 않는 방법은 메모장 혹은 기록장을 가지고 쓰는 버릇을 가져야 합니다. 메모는 기억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좋은 도구입니다. 요즘은 편리한 기능이 많습니다. 헨드폰에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녹음을 하면 자동으로 타이핑을 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기록된 내용을 복사해서 뤼튼(한국챗GPT)에 넣으면 자동으로 요약을 해줍니다. 뤼튼(한국챗GPT)이 만들어 준 요약 - 범용/일반-핵심요약에서 정리해 줌 1. 메모하는 습관을 가지자. 2. 헨드폰에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녹음을 하면 자동으로 타이핑을 해준다. 3. 그리고 나서.. 더보기 《바보 이반》 “이 멍청아, 그것도 몰라. 이그...” 어른들이 어린 애를 나무랄 때 많이 하던 말이 ‘바보 멍청이’다. 우리의 옛 문헌에서 '바보'라는 단어는 발견되지 않는다. 19세기 말의 (1897)에 '바보'로 처음 보인다. 바보는 어원(語源)적으로 '밥+보'라는 ‘ㅂ’탈락현상 이라는 설(說) 등 많이 있는데 설득력이 약하다.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에 나오는 指鹿爲馬(지록위마)라는 고사성어(故事成語)에서 유래하는 말이다. 이 고사성어가 일본에 전해져 馬鹿(말과 사슴)을 일본말로 “바가(ばか)”라고 발음하며 ‘사슴을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바보’를 가리키는 말이다. 일제강점기에 ‘바가 야로(ばかやろう)’ ‘바보 같은 놈’ 이라는 욕 말을 쓰며 우리민족을 36년 동안 탄압을 했던 슬픈 역사가 있다.. 더보기 내 남자를 선택할 때 나는 마리님이 좋아요. 너무 너무 사랑해요. 마리님에게는 3가지 행복이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나는 달이는 당신 마리에게서 세 가지 행복을 느꼈어요. 첫째는 마리님의 눈빛에서 강렬함과 따뜻함을 느껴요. 사랑의 열정과 날 행복하게 할 수 있다는 확신과 무엇이든 한번 세운 목표는 이루고야 말겠다는 불같은 열정이! 첫 번째로 제가 좋아하는 것은 마리님의 눈빛이에요. 마리님의 눈빛에는 강렬한 힘과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어요. 사랑의 열정과 저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확신 그리고 무엇이든 한번 세운 목표는 반드시 이루겠다는 불같은 열정이 느껴져요. 둘째는 마리님의 손은 나의 가슴에 화롯불 같아요. 잿속에 감춰진 채 은은하게 따뜻함을 주는 숯불처럼 나의 가족 모두를 책임지고 모두 행복하게 해줄 것을 믿어요. 당.. 더보기 용서와 행복의 관계 Men of few words are the best men. (William Shakespeare) 말 적은 이가 제일 좋은 사람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No legacy is so rich as honesty. (William Shakespeare) 정직만큼 풍요로운 유산은 없다. Pray you now, forget and forgive. (William Shakespeare) 이제 기도해, 잊고 용서하라. 용서는 잊는 것이다. 용서는 자기 사랑이다. 미움은 자기 학대이다. 용서는 상대방이 있을 때 하는 것인데, 용서할 대상이 없는데도 미워할 것인가? 그러므로 용서하고 살면 자신이 행복해 진다. 그래서 미움이라는 녀석에게 방한칸을 내어 주면 되는 것 조금은 불편해도 살다보면 이해할 날이 오면 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