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참된 정의(正義)는 무엇인가?

무엇이 정의인가?
정의(正義)란 문자 그대로 바르고 옳음이다.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와 개인 간의 올바른 도리 또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를 일컫는다.

개인적 정의와 공동체의 정의
개인적 정의는 양심에 따라 자신에게 정직한 것
스스로 거울 앞에서 자신을 대면하므로 찾아가야할 각자의 자리이다.
그러나 공동체의 정의는 복잡하고, 쉽게 단정짓기 쉽지 않다. 아래 마이클 샌덜 교수가 밝힌 바와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의에느 '공정'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돌풍을 일으켰던《정의란 무엇인가》는 세계적 석학 마이클 샌델의 저서이다.

정의(正義)란 문자 그대로 바르고 옳음이다.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와 개인 간의 올바른 도리 또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 돌풍을 일으켰던《정의란 무엇인가》는 세계적 석학 마이클 샌델의 저서이다.
1.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강조하지만, 다수의 이익을 위해 소수의 희생을 정당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2. 자유주의: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도덕적 문제에 대해 정부가 중립을 지키면 정치적 무기력에 빠질 수 있다.

3. 평등적 자유주의 (존 롤스): 기회의 평등과 부의 재분배를 주장하지만, 극단주의적 행동을 막지 못하고, 능력주의가 계층 세습을 초래할 수 있다.

4. 경제적 자유주의 (로버트 노직): 정부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세금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빈부 격차가 심해지면 시장이 위축될 수 있는 모순이 있다.

5. 공동체주의 (앨러스터 매킨타이어): 개인의 도덕적 가치가 공동체의 전통에서 형성된다고 주장하며, 도덕적 의무는 정치적으로 제도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6. 마이클 샌델: 매킨타이어의 주장을 보완하여, 공동체가 어떤 《가치》를 인정할지를 비교하고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민들이 공공선을 고민하고 정치에 참여함으로써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결국, 샌델은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반영하여 공동체의 도덕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시민의 정치 참여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