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앙의 본질 관하여

신앙의 핵심은 무엇인가?
"내가 믿고 있는 것, 내가 확신하고 있는 것은 오류가 없고 확실한가?"이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면 며두 헛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신뢰할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성경뿐이다.
성경은 최종적이고 완결의 판결을 내린다.
결국 2가지 질문에 다다르게 된다.
"내가 믿는 믿음은 성경적인가?
내가 갖는 구원의 확신은 성경적인가?"
이 둘에 대한 가장 권위있는 증언은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청교도들이 작성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이다.

참된 믿음과 구원의 확신에 관하여

"신자의 믿음" vs "구원의 확신"은 과연 옳은 것인가?
  종교개혁자 칼빈과 그들의 후예였던 청교도들의 관점은 어떠했을까?
다음 구절이 둘은 차이가 있다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였다.
칼빈은 기독교강요에서 "성령이 우리의 머리를 향해 밝혀주시고 우리 가슴에 인을 치신 그리스도 안에서 값없이 주어진 약속의 진리에 근거하여 믿음을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은혜를 확실히 아는 지식으로 정의한다면 제대로 정의(定義, Definition)한 셈이다.1)

   * 정의(定義) : 어떤 말이나 사물의 뜻을 명백히 밝혀 규정하는 일.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개념의 내용을 한정하여 설명하는, 문장이나 식을 말함

그러나 청교도들은 웨스터민스터 신앙 고백서에  이같이  설명한다.
"이 절대적인 (구원의) 확신은 믿음의 본질에 속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참된 신자도 이 확신에 참여하기 전까지 오래 기다리고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둘의 관점의 차이는 무엇인가? 칼빈은 종교개혁이전의 로마카톨릭의 교리와 그들의 주장은 무엇이었을까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들은 "신자가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없다"는 트렌트 종교회의에서 결정했다. 이로써 신자들은 구원의 확신을 갖지 못하고, 교회의 사제와 성례에 전적으로 의탁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에 근거하여 신자들의 믿음이 성경에 부합하고 정당하다면 그 믿음은 참된 믿음이요, 그 믿음에 근거하여 구원도 확신할 수 있음을 가르쳤다.
그러나 문제는 신자들이 삶에서 실제적으로 겪는 어려움들이 있었다. 때로는 그들의 믿음의 감정이 흔들리고, 넘어지고, 침체에 빠지고 좌절을 한다.
시편77편 아삽의 시편에 6 "밤에 부른 노래를 내가 기억하여 내 심령으로, 내가 내 마음으로 간구하기를 7 주께서 영원히 버리실까, 다시는 은혜를 베풀지 아니하실까 8 그의 인자하심은 영원히 끝났는가, 그의 약속하심도 영구히 폐하였는가 9 하나님이 그가 베푸실 은혜를 잊으셨는가. 노하심으로 그가 베푸실 긍휼을 그치셨는가 하였나이다 (셀라)"

칼빈은 로마카톨릭과 싸워야 했기에 참된 믿음을 강조하게 되었다. 참된 믿음을 소유했다면 구원의 확신은 열매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교도들은 목회현장에서 신자들을 상담하고 가르치면서 그들이 알기 원하는 자신들의 구원의 확신은 과연 옳은 것인가하는 고민을 풀어주어야 했다.
그러므로 그들은 때로 신자들에게 참된 믿음의 확신이 늦어지고, 오랜동안 확신할 수 없을 때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구원의 확신도 상황에 따라 흔들리고 엎치락뒤치락하는 일들에 대한 답을 주어야 했다.
"참된 믿음"이 그리스도께서 구원하신다는 확고한 신뢰라면, 구원의 확신은 그 확고한 신뢰의 믿음에 대한 나의 자아상은 분명한 것인가에 달려있다. 그런데 그 확신에 참여하는 데 오랜 시간(세월) 동안 아삽처럼 갈등과 혼돈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당신은 어떠한가?
당신의 믿음과 구원의 확신은 든든한가?
성령이 견고하게 하여 주시는 은혜, 곧 견인(堅忍)을 믿는가?
그리스도의 피값으로 사셨기에 끝까지 인도하신다. 또한 보존하신다.
요한복음 10:28-30 "내가 저희에게 영생을 주노니 영원히 멸망치 아니할 터이요 또 저희를 내 손에서 빼앗을 자가 없느니라 저희를 주신 내 아버지는 만유보다 크시매 아무도 아버지 손에서 빼앗을 수 없느니라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하신대"

그렇다.
롬8장 바울도 그러한 믿음을 천명했다.
"38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이나 현재 일이나 장래 일이나 능력이나,39 높음이나 깊음이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바로 예수님의 마지막 대제사장의 기도에서 요17장 "6 세상 중에서 내게 주신 사람들에게 내가 아버지의 이름을 나타내었나이다 그들은 아버지의 것이었는데 내게 주셨으며 그들은 아버지의 말씀을 지키었나이다,11 나는 세상에 더 있지 아니하오나 그들은 세상에 있사옵고 나는 아버지께로 가옵나니 거룩하신 아버지여 내게 주신 아버지의 이름으로 그들을 보전하사 우리와 같이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15 내가 비옵는 것은 그들을 세상에서 데려가시기를 위함이 아니요 다만 악에 빠지지 않게 보전하시기를 위함이니이다"

* 성도의 견인(堅忍, perseverance; 끝까지 견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 얻은 사람이 은혜의 상태 안에서 끝까지 견디어 영광에 이른다는 성경의 교리이다.
--------
1) John Calvin , Insitutes of the Chritian Religion, E L. Batles 번역, T. J. McNell 편집
Philadelplhia Westminster Press 1960), 3.2.7, 별색 강조
2) 웨스트민스너 신앙고백서(Westminster Confession) 18.3. 24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