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단군신화와 마늘과 쑥 이야기

친구네 2025. 3. 6. 09:48

우리가 즐겨 먹는  <한식>을 만드는 데 필요한 7가지 양념 재료가 어우러져 그 맛을 낸다. 풍미를 더해 주는 양념들로 <간,설, 파, 마,후, 참, 깨> =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참기름 그리고 깨이다.
그런데 한반도에 이러한 식물들은 언제쯤 들어와 재배하여 식용으로 널리 퍼졌을까?

아니면 전래동화 이야기 속에는 구전되어 온 이야기에 변형되거나 추가된 무슨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의 전래동화 속의 <마늘> 이야기

1. 마늘과 쑥, 단군 신화
1-1. 단군 신화와 마늘
-  단군 신화에 등장하는 마늘은 기원전 2세기부터 중국 국경 서쪽 천산 산맥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서 재배됨
- 중앙아시아 기원전 2세기까지 마늘은 아시아에 없었음

 현재는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천산산맥(하늘의 산, 말 그대로 하늘같이 높은 산맥이다.) 

- 당시 만년설로 덮이고 공기가 희박했던 천산산맥을 넘어 동서로 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던 시절

  인간은 어떻게 그 산을 넘어 동쪽으로 이동했을까?


1-2. 달래와 마늘의 구분


- 오늘날 우리들이 즐겨 먹는 마늘은 중앙아시아 기원전 2세기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정

- 달래는 기원전 2세기 이후에 재배된 것으로 보임
- 달래는 달래의 뿌리를 뜻하는 소산이라는 약초를 의미함

1-3. 마늘과 달래의 구분
- 고려 시대에는 마늘을 대산, 달래를 소산으로 명확히 구분
- 마늘을 기원전 2세기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니 곰이 마늘을 먹었다는 이야기로 볼 수 없음


- 마늘과 달래는 외모와 냄새만 달랐을 뿐, 단맛과 맵함은 같았음

- 마늘은 달래보다 단맛이 강했고, 맵함이 더 강했음
- 마늘은 지금의 우리 음식처럼 쓰였을 뿐, 단맛과 맵함이 함께 느껴졌을 뿐이었음

2. 달래의 진실


2-1. 단군신화 속 달래와 마늘
- 단군신화에서 웅녀가 사람이 되려고 먹은 마늘이 아니라 달래였을 것
2-2. 역사적으로 본 달래의 진실
- 단군신화와 중국 속설 모두 역사적으로 검증되지 않고 왜곡되어 옴
2-3. 달래의 가치와 사랑
- 역사적으로 마늘을 달래라고 알고 산다고 했으나,

  달래는 마늘과 엄연히 구분되는 야채로 약용으로 쓰임

-  (강원/충청북도 영남지역에선 달롱개라고 불렀어요~)

알싸하고 상큼한매력의 봄나물 달래 출처 https://v.daum.net/v/BGLGtUYcv0

 

3. 민족의 이동과 함께 가져가는 음식문화

3-1 신화나 설화를 비롯한 모든 스토리텔링에는 인류 문화의 원형(原型)이 녹아 있다고 볼 수 있음 

     샤먼 시대에 모든 것은 그들의 신앙과 연결되어 있었다.

3-2 민간 신앙과 음식

     그래서 마늘도 즐겨 먹은 음식으로도 먹지만, 나쁜 기운을 쫓는 기운이 있다고 믿었다.

  - 즉, 귀신을 쫓고 역병을 막아주는 힘이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 그래서 마늘을 먹으면 인간 안에 있는 동물적 성질인 수성(獸性)을 몰아내고

  - 부드러운 인간의 품성을 갖게 만드는 힘이 있다고 믿은 것이다.

3-3 남성의 정력과 다산의 상징

  -  그것이 생활 속에 젖어 들어 마늘은 <생명의 상징, 힘의 원천>으로 보았다.

  -  그래서 마늘은 남성의 정력제로 생각했고, 남성 고환을 닮았다며 다산의 상징으로 삼았다. 

3-4  쑥과 마늘 그리고 민족  

https://kormedi.com/1212270/

 - 민족마다 좋아하는 음식이 있음.

 - 코카스서 지역의 사람들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중앙아시아 북부지역으로 이동하게 됨

- 그들이 자신들의 식물의 씨앗을 가지고 이동

- 그들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한반도까지 이르게 된다. 

3-5 원주민과 이주민

 - 그들이 이동해 오면서 정착지를 찾게 될 때 원주민과 마찰이 생김

 - 당시 민족 혹은 부족명을 호랑이 족, 곰 족 등으로 씀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 자신들의 민족을 상징하는 민족의 이름을 붙임)

 - 이동해 온 이주민은 곰족을 선택함

 - 그들이 가져온 음식을 함께 먹으며 같은 연합하고 동맹을 맺음

3-6 단군신화와 곰족

 - 이와같이 호족이 아닌 곰족을 선택하게 되었고, 곰족은 그들이 가져온 채소를 함께 먹으며 동질성을 갖게 된다.

 - 그렇게 이주민이 정착민이 되어가면서 곰족과 연합하게 되는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래동화가 되어

   마치 싱징화하여 단군신화로 둔답하게 된다.

만능 약초 쑥

학명은 (Artemisia princeps)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약쑥)에 속하는 다년생초
쑥은 중국, 일본, 한국이 원산지이다.
 벨기에와 네덜란드에 유입되었다.
 길가, 경사지, 계곡, 강둑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자란다.
 
쑥은 우리의 건국신화에 등장할 정도로 그 이용의 역사가 오래이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한다.
약성은 온(溫)하고 신(辛)하다.
- 이기혈(理氣血) · 온경(溫經) · 지혈(止血) · 축한습(逐寒濕) · 이담(利膽) · 안태(安胎)의 효능
말린 쑥은 을 뜨는 데 이용되며, 부싯깃으로도 이용.
 - 민간에서는 여름철에 쑥으로 불을 피워 모기를 쫓는 데 이용
 
- 쑥은 면역력 증진, 혈액순환 개선, 소화기 건강 등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효능이 있는 식물입니다. 
   한의학에서 쑥은 성질이 따뜻하여 환절기 몸속에 있는 한기를 없애고 통증을 줄여준다고 한다.
   또한 비타민 A, B, C, 칼슘, 칼륨, 인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해 면역력을 높여 준다.
   쑥은 말려서 달여 먹어도 좋고 쑥떡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쑥은 식이섬유가 많아 설사뿐 아니라 변비에도 도움이 된다. 쑥은 소염작용이 강해 자체로도 효능이 있음
 - 쑥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몸속의 탄수화물 및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며 해독 기능이 있음.
   면역력을 증진시켜주어 피로회복과 노화 예방
 
- 쑥의 효능과 활용법
  • 면역력 증진: 비타민 A, B, C, 칼슘 등의 영양소가 풍부해 기력 회복에 도움
  • 혈액순환 개선: 시네올과 베타카로틴 성분이 혈액순환을 돕고 노폐물 배출에 도움 
  • 소화기 건강: 위액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기능을 도와 춘곤증을 이기는데 좋음 
  • 여성 건강: 자궁출혈을 멎게 하고 안태작용이 있어 임신 초기에도 안전하게 활용 

쑥의 활용

한방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또 쑥은 국, 무침, 전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또한 말린 쑥을 면포에 넣어 입욕제로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이나 습진 등을 제거하는 데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