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와 마늘과 쑥 이야기
우리가 즐겨 먹는 <한식>을 만드는 데 필요한 7가지 양념 재료가 어우러져 그 맛을 낸다. 풍미를 더해 주는 양념들로 <간,설, 파, 마,후, 참, 깨> =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참기름 그리고 깨이다.
그런데 한반도에 이러한 식물들은 언제쯤 들어와 재배하여 식용으로 널리 퍼졌을까?
아니면 전래동화 이야기 속에는 구전되어 온 이야기에 변형되거나 추가된 무슨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의 전래동화 속의 <마늘> 이야기
1. 마늘과 쑥, 단군 신화
1-1. 단군 신화와 마늘
- 단군 신화에 등장하는 마늘은 기원전 2세기부터 중국 국경 서쪽 천산 산맥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서 재배됨
- 중앙아시아 기원전 2세기까지 마늘은 아시아에 없었음
현재는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천산산맥(하늘의 산, 말 그대로 하늘같이 높은 산맥이다.)
- 당시 만년설로 덮이고 공기가 희박했던 천산산맥을 넘어 동서로 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던 시절
인간은 어떻게 그 산을 넘어 동쪽으로 이동했을까?
1-2. 달래와 마늘의 구분
- 오늘날 우리들이 즐겨 먹는 마늘은 중앙아시아 기원전 2세기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정
- 달래는 기원전 2세기 이후에 재배된 것으로 보임
- 달래는 달래의 뿌리를 뜻하는 소산이라는 약초를 의미함
1-3. 마늘과 달래의 구분
- 고려 시대에는 마늘을 대산, 달래를 소산으로 명확히 구분
- 마늘을 기원전 2세기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니 곰이 마늘을 먹었다는 이야기로 볼 수 없음
- 마늘과 달래는 외모와 냄새만 달랐을 뿐, 단맛과 맵함은 같았음
- 마늘은 달래보다 단맛이 강했고, 맵함이 더 강했음
- 마늘은 지금의 우리 음식처럼 쓰였을 뿐, 단맛과 맵함이 함께 느껴졌을 뿐이었음
2. 달래의 진실
2-1. 단군신화 속 달래와 마늘
- 단군신화에서 웅녀가 사람이 되려고 먹은 마늘이 아니라 달래였을 것
2-2. 역사적으로 본 달래의 진실
- 단군신화와 중국 속설 모두 역사적으로 검증되지 않고 왜곡되어 옴
2-3. 달래의 가치와 사랑
- 역사적으로 마늘을 달래라고 알고 산다고 했으나,
달래는 마늘과 엄연히 구분되는 야채로 약용으로 쓰임
- (강원/충청북도 영남지역에선 달롱개라고 불렀어요~)
3. 민족의 이동과 함께 가져가는 음식문화
3-1 신화나 설화를 비롯한 모든 스토리텔링에는 인류 문화의 원형(原型)이 녹아 있다고 볼 수 있음
샤먼 시대에 모든 것은 그들의 신앙과 연결되어 있었다.
3-2 민간 신앙과 음식
그래서 마늘도 즐겨 먹은 음식으로도 먹지만, 나쁜 기운을 쫓는 기운이 있다고 믿었다.
- 즉, 귀신을 쫓고 역병을 막아주는 힘이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 그래서 마늘을 먹으면 인간 안에 있는 동물적 성질인 수성(獸性)을 몰아내고
- 부드러운 인간의 품성을 갖게 만드는 힘이 있다고 믿은 것이다.
3-3 남성의 정력과 다산의 상징
- 그것이 생활 속에 젖어 들어 마늘은 <생명의 상징, 힘의 원천>으로 보았다.
- 그래서 마늘은 남성의 정력제로 생각했고, 남성 고환을 닮았다며 다산의 상징으로 삼았다.
3-4 쑥과 마늘 그리고 민족
- 민족마다 좋아하는 음식이 있음.
- 코카스서 지역의 사람들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중앙아시아 북부지역으로 이동하게 됨
- 그들이 자신들의 식물의 씨앗을 가지고 이동
- 그들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한반도까지 이르게 된다.
3-5 원주민과 이주민
- 그들이 이동해 오면서 정착지를 찾게 될 때 원주민과 마찰이 생김
- 당시 민족 혹은 부족명을 호랑이 족, 곰 족 등으로 씀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 자신들의 민족을 상징하는 민족의 이름을 붙임)
- 이동해 온 이주민은 곰족을 선택함
- 그들이 가져온 음식을 함께 먹으며 같은 연합하고 동맹을 맺음
3-6 단군신화와 곰족
- 이와같이 호족이 아닌 곰족을 선택하게 되었고, 곰족은 그들이 가져온 채소를 함께 먹으며 동질성을 갖게 된다.
- 그렇게 이주민이 정착민이 되어가면서 곰족과 연합하게 되는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래동화가 되어
마치 싱징화하여 단군신화로 둔답하게 된다.
만능 약초 쑥
-
면역력 증진: 비타민 A, B, C, 칼슘 등의 영양소가 풍부해 기력 회복에 도움
- 혈액순환 개선: 시네올과 베타카로틴 성분이 혈액순환을 돕고 노폐물 배출에 도움
- 소화기 건강: 위액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기능을 도와 춘곤증을 이기는데 좋음
- 여성 건강: 자궁출혈을 멎게 하고 안태작용이 있어 임신 초기에도 안전하게 활용
쑥의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