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모음

글자와 의미

친구네 2023. 6. 17. 12:17

글자에는 어떤 뜻이 담겨있을까?

먼저는 거기에 표면적인 정보가 있고, 둘째로는 숨겨진 정보를 담고 있다.
어떤 글자는 하나로서도 많은 정보를 얻게 하지만, 어떤 글자와 합쳐지면 전혀 다른 정보로 변환디ㅗ기도 한다.
그러므로 글자 자체를 통해 전달하려는 정보도 있지만, 속뜻고 가지겨 있다.

임금 군(君)은 한자로, 왕을 뜻한다.

음을 나타내는 尹(다스릴 윤)과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 나라국, 지역)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반적으로 손을 나타낼 때에 오른손잡이를 '主手'(주수)라고 표현하고, 왼손을 뜻하는 왼손 좌(屮)자가 있다. * 屮(왼손 좌, 싹 날 철)을 누여놓았다.
다스릴 윤자는 왼손을 의미한다. 왜 통치를 나타내고 다스림을 표현하는데 오른손이 아닐까?
먼저 손에 대해 살펴보자.
손 수, (手/扌)손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扌를 크게 키우면 才(재주 재)가 되는데 才 역시 手 부수의 제부수 한자이다.

손과 관련된 것들

두 손(廾·臼), 가지나 도구를 든 손(支·攴·殳 ...
사람 관련 부수들이다.  두 손(廾·臼)을 나타냘 때에 쓰이는 <양손 공> 양손(廾)과 양손(廾)을 모으는 것이다. 양손과 양손을 모으는 것은 '함께'이지요. 함께 공, 공동(共同 : 함께, 같이), 공조(共助) 등이 있다.
되 승升(되로 곡식을 떠올려 붓는다는 뜻 '올리다'),
오를 승(昇). '오르다', '(해가) 뜨다'

왼손(十)과 오른손(十)은?  

두 손을 본뜬 모양으로 양손 공(廾)은 왼손과 오른손은 ‘양손’을 의미한다.
적을 막기 위해서 경계해야 하는 군사는 손에 무엇을 들고 경계를 서나요? 창戈이지요.
경계할 계(戒) 戈: 창 과  廾: 양손 공, 창(戈)을 양손(廾)으로 들고 무언가를 하는 모습이다.
배울 학자도 마찬가지다. 양손이 들어간다. 배울 학(學). 배우다, 공부하다, 가르침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손에 가지나 도구를 든 손(支·攴·殳), 꼬리를 잡은 손(隶)을 보여 준다. '미칠 이/대(隶).' 及(미칠 급)과 함께 '영향이 미치다'할 때 사용한다.
康은 '편안 강'이라는 한자로, '편안하다', '탈이 없다' 등을 뜻한다. 집 안에 쥐 등 나쁜 것을 잡으니 평안하다는 의미이다.

왜 오른 손이 아니고 왼손을 나타내는가?

이는 손(又, 手, 屮, 寸, 彐)을 변형들로 나타낼 때 쓰이는 글자들이다. 오른 손(又)과
왼손가락을 그리면 좌촌(左寸)이고, 오른손가락을 그리면 우촌(右寸)입니다.
오늘날 왼쪽과 오른쪽을 뜻하는 左右는 필순이 다르다.
又는 손가락 세개를 의미하는데, 손가락을 꺾은 모양을 본뜬 모습으로 손을 구분했다.
右(오른쪽 우)자의 초기 글자이다.
발의 모습을 본뜬 글자 역시 止(그칠 지)자도 땅에 한 발은 서 있고, 뒷발은 굽힌 자세이니 가다가 멈춘 모양새이다.
공구(工)는 주로 오른손으로 다루지만 왼손이 도우면 실수가 없고 보다 정교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칼을 차고 있다면 칼집을 어디에 잡고 있는가? 왼손이다. 왜 입구가 붙여져서 오른쪽이 되었을까?
오늘날 왼쪽과 오른쪽을 뜻하는 左右를 쓴다. 두 글자 모두 윗부분이 매우 흡사하지만 左는 왼손을 左= 一 +丿(필순)의 순서로, 右=丿+ 一(필순)의 순서로 쓴다. 이후로는 쓰는 순서가 같아졌다. 문반과 무반이 있는데, 국왕이 조회를 할 때 문신들은 동쪽/오른 쪽에, 무신들은 서쪽/왼쪽에 서게 하였다.  그리하여 동쪽에 서는 반열을 동반 또는 문반, 서쪽에 서는 반열을 서반 또는 무반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 두 반열을 통칭하여 양반(兩班) 이라 하였는데 고려·조선시대 지배신분층이다.
오른 쪽(右)은 입으로 막고 사는 사람들, 왼쪽(左)은 손놀림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다.
임금은 국가를 다스리는 자이다.
尹: 다스릴 윤 + ㅁ: 입(말) 구가 합쳐져 만들어진 임금은 왼손에 막대기(丿:삐침 별)를 들고 있다.
왕의 손은 오른 손은 정의, 심판, 공정을 나타내고,
왕의 왼손은 자비와 사랑, 은혜를 베푼다. 왕은 정의보다 은혜를 베푸는 자여야 한다.

다스리는(尹) 말(ㅁ)을 하는 이는?

손에 막대기(홀)을 들고 입으로 명령하여 다스리는 사람을 말한다. 백성에게 하는 이는 '임금' 곧 왕을 의미하는데, 군왕(君王: 임금), 군주(君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