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청교도들의 가정생활/ ②가정관

친구네 2024. 5. 17. 14:36

 

가정, 신앙전수의 통로

가정의 신앙 교육과 실천들은 청교도 가정 생활의 필수 부분으로 중시되었고

교회의 효력을 보조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교회 혼자만으로는 믿음을 전하는 일을 행할 수 없었다.

가정은 이 중대한 노력에 불가결한 동반자였다.

청교도는 가족에 대한 고매한 생각을 갖도록 하는 운동을 벌였다.

그들은 가족이 사회의 기본 단위이며 남편을 목사로, 아내를 전도사로 하는 작은 교회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아내는 명령계통에 있어서는 종속적이었으나 목회 과정의 진행에 있어서는 중요한 인물이었다.

남편은 가족의 장으로 자녀와 손님들 앞에서 존경을 받아야 했다.

이것이 월리암 구쥐(William Gouge)가 다른 사람들이 있을 때 남편을 'ducks', 'chicks', 'sweet', 'pigsni'라는 애칭으로 부르지 말고 'Master' 등으로 불러야 한다고 지시한 이유였다.

 

사명으로 뭉친 가정

남편의 의무

가장인 남편은 가족을 신앙으로 이끌고, 주일날 그들을 교회에 데리고 가고 가정에서 그날 온종일을 성별하도록 감독하고, 자녀에게 교리문답을 하고 믿음으로 가르치고, 설교를 들은 후에 가족 전체의 시험을 보아 얼마나 기억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남아있는 이해에 결함을 메꾸어주고 매일 가정예배를 이상적으로 하루에 두 번 인도하고, 언제나 모든 문제에 있어 근실한 모범이 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그는 그가 가르칠 책임을 맡은 믿음을 배우기위해 기꺼이 시간을 들여야 한다.

그러므로 나는 모든 가장들이 먼저 웨스트민스터 규범을 잘 공부한 다음 자녀와 종들에게 그들의 다양한 역량에 맞추어 가르치기를 간절히 바란다”(Thomas Manton).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특별히 맡겨 주셨다고 하는 특별소명 개념은 청교도 정신에 <결혼과 가족 생활>을 구성하게 되었다. 즉 아버지의 가정을 돌보는 소명과 아내와 어머니의 전체적인 소명이다.

청교도 교육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혼의 소명을 받았고,

독신 생활의 불편과 좌절을 발견함으로 이 소명을 깨닫게 된다고 단언했다.

 

자녀를 신앙으로 양육

그리고 하나님의 인류를 지속시키고 그 인류 가운데 교회를 지속시키는 방법으로 결혼한 부부는 자녀를 낳으라는 소명을 받았고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하나님과 부모에 대한 순종을 가르치라는 소명을 받았다.

자녀들은 부모에 대한 순종과 하나님에 대한 순종의 두 가지 소명을 받았으며 이 소명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소명의 수행은 가정 생활을 진정하게 하기 위한 신앙생활이었고, 항상 열심히 일함으로 입증될 수 있었다.

청교도들은 신앙을 의무에 대한 이행으로 생각하였고 따라서 가장 훌륭한 그리스도인은 가장 훌륭한 남편, 가장 훌륭한 아내, 가장 훌륭한 자녀, 가장 훌륭한 관리, 가장 훌륭한 백성이 되는 것으로 드러나야 했다.

따라서 그들은 문제되는 모든 일, 곧 개인기도, 가정예배, 가족과의 관계, 임금을 받는 일, 배우자와 자녀와의 친밀한 교제, 안식일의 휴식, 그리고 자신의 소명이 요구하는 다른 모든 일에 시간을 바쳤다.

그들은 공적 소명의 가정의 소명을 모두 하나님께서 주신 것으로 인정하고 그 다음에 빈틈없이 세련되게 시간을 사용함으로 두 가지 요구 모두를 충족시키는 삶의 형태를 찾으려고 했다.

 

교회들은 간혹 가정의 신앙 의무들의 이행에 대한 공적 서약을 했다.

1680년에 잉크리즈 매더의 보스턴교회는 다음과 같은 언약을 했다.

 “우리는 우리의 가정에서 온전한 심령으로 하나님 앞에서 행하고자 노력할 것이며,

하나님께서 자신의 말씀에서 분명하게 요구하시는 대로 우리의 가정에서 <기도와 성경읽기>를 중시하며

끊임없이 하나님께 <예배드릴 것>을 약속합니다(그리스도의 도우심으로).

또한 우리는 우리 자녀들을 <그리스도를 위하여 양육>함으로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 진정한 헌신>으로

주님의 이름을 받는 자들이 되도록 우리의 책임을 행할 것이며,

(필요할 때마다) 그들에게 <교리문답>을 가르치며 그들에게 주님을 경외하고 섬기도록 권하고 명하며 그들 앞에 거룩한 모범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며 그들의 회심과 구원을 위하여 많이 기도할 것을 약속합니다